웹진
세종공대
기사목록
세종공대
선택
제목
내용
전체글보기
기사분류
STATE-OF-THE-ART
Sejong Professors
Sejong News
Korean
English
Vol. 42
[STATE-OF-THE-ART]
손 안의 정밀 위치 기술 : 스마트폰을 활용한 GNSS 정밀 측위의 현재와 미래
스마트폰은 이제 단순한 통신 기기를 넘어, 위성항법시스템(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, GNSS)를 비롯한 다양한 센서와 위치 기반 서비스(Location-Based Service, LBS)를 통해 우리의 일상 전반을 변화시키고 있다.
2025-04-10
Vol. 42
[Sejong News]
세종대, 대한민국 해군과 ‘해군 첨단과학기술융합센터’ 개소 “국방 과학기술 협력 강화”
세종대학교(총장 엄종화)는 2월 19일, 대한민국 해군과의 산학연 첨단 과학기술 협력체계 구축 및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‘해군 첨단과학기술융합센터(NATCC : Navy Advanced Technology Convergence Center)’를 개소하고 현판식을 개최했다.
2025-04-10
Vol. 42
[Sejong News]
세종대, 2024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2개 선정! - 지속 가능한 연구 환경 조성에 앞장 -
세종대학교(총장 엄종화) 스마트생명산업융합학과의 '미토콘드리아 및 대사 연구실'(장경진 교수)과 식품생명공학전공의 '식품유전체학연구실'(임태규 교수)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안전관리 우수연구실' 인증심사에서 신규 우수연구실로 선정됐다.
2025-04-10
Vol. 42
[Sejong News]
세종대, SW중심대학 2단계 사업 본격화...17개 대학과 현판증정식 개최
세종대학교(총장 엄종화)는 지난 12월 5일 2024년 SW중심대학 2단계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현판증정식을 개최했다.
2025-04-10
Vol. 42
[Sejong Professors]
나노신소재공학과 박준영 교수 연구팀, ‘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·고신뢰성 고체산화물 수전해 단전지 및 스택 개발' 국제 공동연구 진행
나노신소재공학과 박준영 교수 연구팀은 (주)이앤코아, 연세대학교, 독일 항공우주연구소(DLR), 세라믹 전문기업 Kerafol과 함께, ‘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·고신뢰성 고체산화물 수전해 단전지 및 스택 개발’ 국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.
2025-04-10
Vol. 42
[Sejong Professors]
세종대 물리천문학과 Rossi 교수, DESI 공동 연구팀에서 암흑에너지 약화 연구 결과 공개
세종대학교(총장 엄종화) 물리천문학과의 Graziano Rossi(그라지아노 로시, 사진) 교수가 암흑에너지의 힘이 점점 약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.
2025-04-10
Vol. 42
[Sejong Professors]
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Mugahed A. Al-antari 교수팀, VLLM 기능을 활용한 XAI기반 임상 영상 분석 시스템 'MedXpert-CAD' 개발
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Mugahed A. Al-antari 교수팀(Mukhlis Raza, Saied Salem, 권현욱 연구원)이 의료 영상 분석 시스템 'MedXpert-CAD'를 개발했다.
2025-04-10
Vol. 42
[Sejong News]
양자원자력공학과 전민식 학생, '원자력 미래기술 아이디어 부트캠프 경진대회' 대상 수상
전민식(양자원자력공학과·20) 학생이 한국원자력협력재단에서 주관한 '원자력 미래기술 아이디어 부트캠프 경진대회'에서 대상을 수상했다.
2025-04-10
Vol. 42
[Sejong News]
기계공학전공 정진영, 윤정호 학생, 국제 Simulink Student Challenge 2등 차지
기계공학전공 정진영, 윤정호 학생이 국제 Simulink Student Challenge에서 2등이라는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.
2025-04-10
Vol. 42
[Sejong News]
건축공학과 학생팀, 제13회 KIBIM BIM COMPETITION 2024 학생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 수상
건축공학과 학생들이 제13회 KIBIM BIM COMPETITION 2024 학생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.
2025-04-10
1
2
3
4
5
6
7
8
9
10